본문 바로가기
재테크 전략

연금저축 vs IRP, 연말정산 세금 환급 제대로 받는 법 (2025년 최신)

by 모경이 2025. 6. 6.
728x90
반응형

 

이번 글에서는 

✔️ 연금저축 vs IRP의 구조 차이

✔️ 세액공제 혜택

✔️ 수령 방식 % 주의사항까지

한 번에 정리해봤다.

 

 

✅ 연금저축 VS IRP 한눈에 비교

구분 연금저축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가입 대상 누구나 근로자 + 자영업자 + 무직자 등
연간 납입한도 400만원  1,800만원 (퇴직자 포함)
세액공제 한도 16.5% (총 66만원) 16.% (총 297만원까지 가능)
수령 나이  만 55세 이후 만 55세 이후
중도해지 시  기타소득세 부과 (15.4%) 퇴직소득세 부과
출금 제한 자유롭게 해지 가능 (단 세금) 매우 제한적 (퇴직 목적 위주)

 

 

📌 둘 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며 노후자금을 준비할 수 있지만, 

👉 성격은 꽤 다르다.

 

 

 

💸 세액공제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
✅ 총 급여 5,500만원 이하 또는

✅ 종합소득 4,000만원 이하

 

👉 위 조건에 해당되면 세액공제율은 16.5%로 적용된다.

 

상품 최대 세액공제 혜택
연금저축 (400만원) 최대 66만원
IRP (700만원) 최대 115.5만원
합산 최대 700만원 납입 > 최대 115.5만원 절세 가능

 

 

 

📌 실제 사례 예시

30대 직장인 A씨

연간 총 급여: 4,800만원

연금저축에 300만원, IRP에 400만원 납입

 

 

👉 세액공제 혜택:

  • 연금저축: 300만 x 16.5% = 49.5만원
  • IRP: 400만 x 16.5% = 66만원
  • 총 115.5만원 세금 환급 가능

매년 이 정도 혜택이면, 10년이면 천만원 이상 절세 효과

 

 

 

✅ 연금저축의 장단점

장점

  • 가입/출금 자유도 높음
  • 상품군 다양 (펀드, 예금, 보험 등)
  • 중도해지 시 세금만 내면 언제든 현금화 가능

단점

  • 연간 한도 400만원으로 낮음
  • 수령 시 연금소득세 부과 (3.3%~5.5%)

 

✅ IRP의 장단점

 

장점

  • 연간 납입 한도 높음 (1,800만원)
  • 세액공제 한도도 크다 (700만원까지 적용)
  • 퇴직금 수령 계좌로도 활용 가능

단점

  • 출금 제한 매우 많음 (비상금 용도로 부적합)
  • 중도해지 시 퇴직소득세 부과 > 불리함
  • 가입 후 자산 이동 제한되는 상품도 있음

 

 

🧭 어떤 사람이 어떤 상품을 선택하면 좋을까?

상황 추천
자유롭게 입출금 가능한 절세 상품을 원함 연금저축
퇴직금과 함께 노후자금 설계하고 싶음 IRP
고소득자로 세액공제 극대화 원함 연금저축 + IRP 둘 다
자영업자/무직자로 퇴직금 없는 경우 연금저축 우선 가입

 

 

 

❗가입 시 주의할 점

  • 연금 수령은 만 55세 이후 5년 이상 분할 수령해야 연금소득세가 낮아진다.
  • 중도해지 시 15.4% 기타소득세 or 퇴직소득세 부과
  • 같은 금융기과 내에서도 수수료/운용수익률 차이 큼 > 상품 비교 필수

 

 

✅ 정리 요약

항목 연금저축 IRP
연간 한도 400만원 1,800만원
세액공제 한도 16.5% (66만원) 최대 115.5만원
중도해지 유연성 좋음 제한적
수령 방식 만 55세 이후 연금 만 55세 이후 연금

 

✔️ 둘 다 가능하면 함께 가입하여 세액공제 극대화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2025년 청약 가점 계산 |내 점수로 당첨 가능할까? 커트라인·가점표 정리

내 가점이면 당첨 가능할까? 기준과 꿀팁 정리 청약 당첨, 이제는 운이 아니라 가점 싸움이라는 말 말 많이 들었을것이다.특히 2025년부터 공급 지역과 제도 변화로 가점 커트라인이 더 치열해졌

soarer17.com

 

 

자동차 보험료 30만원 아끼는 현실 꿀팁 (2025 최신 정리)

2025년 비교사이트 활용법과 특약 정리까지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한 번 꼭 해야 하는 게 있다.바로 자동차 보험 갱신이다. 그런데 보험료, 해마다 오르는 느낌이 들지 않은가? "왜 보험

soarer17.com

 

 

국민연금 일시금 받을 수 있을까? / 연금 수령과 차이점·세금까지 총정리

국민연금을 오래 납부하다 보면 언젠가는 "이거 한 번에 받을 수는 없을까?""매달 조금씩 받는 게 더 나은가?"하는 고민이 들기 마련이다.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 방식 중 '일시금'과 '연금'의 차이

soarer17.com

 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