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한미 기준금리차,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사실
2025년 5월 기준,
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는 아래와 같다.
- 미국: 4,50% (동결)
- 한국: 2.75% (동결)
👉 두 나라 간 기준금리 차이는 1.75%p에 이르며,
이는 2022년 이후 가장 큰 수준이다.
이번 글에서는 미국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, 한국은행의 판단,
금리차가 의미하는 바를 정리해보았다.
미국은 왜 금리를 동결했을까?
2025년 5월,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는
기준금리를 4.50%로 동결했다.
이는 2024년 말 기준금리를 내린 이후, 세 번째 연속 동결이다.
✅ 연준이 밝힌 이유:
- 인플레이션은 다소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목표지(2%)를 상회
- 고용시장은 견조하지만, 경기 둔화 가능성도 존재
- 파월 의장: "관세와 공급망 변화 등 불확실성이 커져 금리 인하를 서두를 수는 없다."
미 기준금리 또 동결‥"트럼프 압박 영향 안 받아"
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거듭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, 금리 동결을 결정했습니다.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"그대로 유지되면...
imnews.imbc.com
한국은 왜 2.75%에서 멈췄을까?
한국은행은 2024년 하반기부터 세 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하했고,
2025년 2월에는 기준금리를 2.75%로 낮춘 뒤 유지 중이다.
✅ 한국은행의 판단 근거:
- 소비자물가 상승률: 2.9% (목표치에 근접)
- GDP 성장률: 0/3% (1분기, 속보치 기준)
- 가계대출 부다 증가와 경기 둔화 우려
한은 물가보다는 경기와 금융 안정에 무게를 두고
지속적인 금리 인하는 일단 멈춘 상황이다.
📉 한미 기준금리차, 얼마나 벌어졌나?
국가 | 기준금리 | 최근 조치 |
미국 | 4.50% | 2025년 5월 동결 |
한국 | 2.75% | 2025년 4월 동결 (2월에 인하) |
📌 최대 1.75%포인트 차이
> 외국인 자금 이탈, 환율 변동성 등 다양한 경제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.
그럼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까?
1. 원화 약세 가능성
미국 금리는 높고 한국은 낮으면
외국 자금이 한국에서 빠져나가 달러를 선호
> 원/달러 환율 상승
2. 수입물가 상승
환율이 오르면 수입제품 가격도 상승
> 물가에 다시 압박
3. 대출이자에 대한 기대감
한국 기준금리가 내려간 덕에
신용대출, 전세자금대출 이자가 낮아질 수 있음
(단, 시중은행은 바로 반영하지 않음)
마무리 요약
✔️ 미국: 경제 불확실성 증가 > 금리 동결
✔️ 한국: 물가 안정 + 경기 둔화 > 2.75% 유지
✔️ 금리차: 1.75%p로 확대 > 환율/자금유출 리스크 존재
금 투자할까? 골드바보다 금통장을 추천하는 이유
최근 주식이나 부동산이 불안정할 때마다 등장하는 대체 투자처가 바로 '금'이다."금이라도 사놔야 하나?" 고민해보셨다면 오늘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자. 금 투자,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?골드
soarer17.com
미국 경제 무너진다? 마이너스 성장에 초대형 관세 직격
2025년 1분기 미국 경제가 예상과 달리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.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미국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건, 우리에게도 중요한 신호일 수밖에 없다. 왜 이런 일이 생긴 걸
soarer17.com
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, 쉽게 이해하기
요약: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개념원인과 결과, 실제 생활에서의 영향한국의 인플레이션/디플레이션 사례2025년 현재 우리 경제 상황 1. 인플레이션이란?인플레이션은
soarer17.com